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64

유리수·무리수·절댓값·좌표축 이해: 실수체계 총정리 실수체계 총정리: 유리수·무리수·절댓값·좌표축 이해고등학교 이과 수학에서 실수체계는 모든 수학 개념의 토대가 됩니다. 실수는 수 체계의 최상위 개념으로, 유리수와 무리수 두 갈래로 나뉘며, 절댓값과 좌표축 이해를 바탕으로 함수, 미적분, 확률·통계 등 모든 심화 단원을 연결해 줍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실수체계의 전반적 구조유리수와 무리수의 정의와 특징절댓값의 성질좌표축과 좌표평면 기초를 차례로 정리하고, 대표 예제와 심화 문제로 사고력을 확장해 보겠습니다.실수체계의 개요수 체계 분류실수(real number)는 모든 유한소수, 순환소수, 무한비순환소수를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수 체계는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자연수 $\mathbb{N}={1,2,3,\dots}$정수 $\mathbb{Z}={\dots,.. 2025. 3. 23.
함수와 기초 개념: 집합·명제 완전 정리 — 참·거짓과 조건·필요충분조건 함수와 기초 개념: 집합·명제 완전 정리 — 참·거짓과 조건·필요충분조건고등학교 이과 수학의 첫 걸음은 집합(Set) 과 명제(Proposition) 를 정교하게 다루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집합은 수학적 대상들의 “모임”을, 명제는 그 대상에 대한 “참·거짓이 판별 가능한 문장”을 뜻합니다. 개념이 단순해 보일 수 있지만, 이 두 축을 정확히 이해해야만 지수·로그, 미적분, 확률통계 같은 심화 단원에서 논리적 실수를 피할 수 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집합 표현 → 명제 논리 → 조건식 → 필요충분조건 의 순서로 핵심 내용을 정리한 뒤, 대표 예제와 심화 문제를 통해 사고력을 확장해 보겠습니다.집합의 정의와 표기법원소와 기호원소(element): 집합에 속한 각 대상을 말합니다.포함 기호: $a\in A.. 2025. 3. 22.
반응형